도야마 시게히코 박사의 불로장생 비법 <오체산보술> 공개
페이지 정보
작성자 하늘보리 작성일18-01-09 09:31 조회494회 댓글0건관련링크
본문
아흔 살을 구순
(
九旬
)
이라고 한다
.
아홉 구
(
九
)
에 열 번 순 또는 십 년 순
(
旬
)
이다
.
아홉이 열 번 지났다는 뜻이다
. 늙되 극도로 늙은 것 지극하게 늙은 것이 구순이다. 사람이 아흔 살이 넘으면 모든 기혈과 경맥이 고갈되어 마치 마른 수수깡처럼 공허해진다. 옛말에
아흔 살이 넘으면 자나 깨나 눈에 귀신이 보인다고 하였다
.
정신이 절반 넘게 귀신 세상에 가 있는 까닭이다
.
마치 한쪽 발은 이승에 걸치고 있고 다른 한쪽 발은 저승에 들여 놓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
.
아흔 한 살을 망백(望百)이라고 한다. 백 살을 바라본다는 뜻이다.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흔이 넘으면 정신이 흐려져서 꿈인지 생시인지 살아 있는 것인지 죽은 것인지 분간하기 어렵고 몸뚱이는 쇠잔 ( 衰殘 ) 하여 한 걸음도 걷기 어려우므로 의자에 앉아 있거나 자리에 누워서 세월을 보내기 마련이다 .
그런데 아흔 다섯 살의 나이에도 소년처럼 정신이 총명
(
聰明
)
하고 청년처럼 신체에 활력이 넘치는 사람이 있다
.
일본의 이름난 언어학자이고 평론가이며 산문가
(
散文家
)
인 도야마 시게히코
(
外山 滋比古
-
とやま しげひこ
)
박사가 바로 그 사람이다
.
그는 병원에서 실시한 모든 건강 검사에서도 뇌와 장부 조직의 상태가 건강한 젊은이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니 이를 어찌 망백
(
望百
)
이 지난 늙은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
?
도야마 시게히코가 지은
《
元気
の
源 五体
の
散歩
-
원기의 근원 오체산보술
(
五體散步術
)
》
이라는 책에 보면 그의 건강장수비결이 적혀 있다
.
그는 오체산보
(
五體散步
)
곧 다리와 손
,
머리
,
눈
,
귀
,
입 등 오체
(
五體
)
를 부지런하고 천천히 움직이는 것이 건강과 장수의 비결이라고 주장하였다
.
산보
(
散步
)
는 급하거나 빨리 걷지 말고 천천히 느긋하게 걷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
.
산보나 산책
(
散策
),
나들이
,
소풍
(
逍風
)
은 다 같은 뜻이다
.
오체산보는 신체의 한 부분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모든 부위를 골고루 천천히 움직이는 것이다
.
게으름이 세상에서 가장 큰 병이다 . 편안하고 안락한 생활이 병을 만든다 . 뇌를 움직여야 정신이 총명해지고 몸을 움직여야 몸이 튼튼해진다 . 평담 ( 平淡 ) 하고 평정 ( 安靜 ) 한 삶이 사람을 빨리 늙고 병들게 하고 죽게 하는 원흉 ( 元凶 ) 이다 . 사람은 끊임없이 새로운 벗을 사귀고 안팎에서 일어나는 온갖 일에 관심을 갖고 자극을 받으면서 살아야 무병장수할 수 있다 .
도야마 시게히코 박사의 오체산보술 ( 五體散步術 ) 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.
1. 발을 사용하는 산보 ( 散步 )
나이가 많은 사람들한테 날마다 천천히 걷는 것보다 더 이로운 건강법은 없다 . 그는 겨울이나 여름이나 날마다 집 주변을 걷거나 지하철을 타고 가서 공원을 산책한다고 한다 . 비가 오는 날에는 지하철의 지하상가에 진열된 갖가지 상품들을 둘러보면서 걷는다고 한다 .
2. 목을 사용하는 산보
기운과 혈액은 목을 거쳐 머리로 올라가고 머리에서 목을 거쳐 밑으로 내려온다 . 날마다 목을 사방으로 돌리는 목운동을 해야 혈액순환이 좋아진다 . 목 운동을 수시로 하면 목이 뻐근한 증상이나 굳은 것이 풀리고 뇌로 혈액이 잘 통하게 되어 뇌기능이 좋아진다 .
3. 손을 사용하는 산보
손은 뇌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. 뇌가 생각하고 지시한 것을 손이 실천한다 . 그는 10 년 전에 노약해져서 몸을 움직이기 불편해지기 시작하자 밥 짓기와 집안 청소 , 빨래 등을 직접 하기 시작하였다 . 그 결과 답답하고 우울하던 증상이 없어졌으며 늘 마음이 즐거워졌다고 하였다 . 여러 가지 수공예품을 만들고 바느질을 하거나 몇 가지 악기를 연주하는 것을 배워서 손을 많이 움직이도록 해야 손이 늙지 않는다 .
4. 눈을 사용하는 산보
유람 ( 遊覽 ) 은 여기 저기 돌아다니면서 새로운 경치와 사물을 구경하는 것이다 . 시간이 날 때마다 새로운 곳이나 예전에 다녔던 곳을 돌아다니며 산천경개 ( 山川景槪 ) 와 갖가지 문물 ( 文物 ) 을 관찰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. 유람을 통해서 새로운 사물과 접촉할 기회가 많아지면 시각 ( 視覺 ) 이 넓어진다 .
5. 귀를 사용하는 산보
자연에서 나는 온갖 소리들은 경직된 몸과 마음을 풀어주는 훌륭한 약이다 . 바람 소리와 새소리 , 시냇물 흐르는 소리 등을 자주 들어 긴장된 몸과 마음을 느긋하게 풀어 주어야 한다 . 수시로 자신의 귀한테 한 바탕 잔치를 열어 주는 것이 좋다 .
6. 입을 사용하는 산보
노는 입에 염불하다는 말이 있다 . 말을 하는 것이 입과 혀를 움직이는 가장 좋은 운동이다 . 그는 잡담회 ( 雜談會 ) 라는 모임을 만들어 각양각색의 사람들을 모아 갖가지 이야기를 나누는 것으로 뇌를 자극하고 사고의 폭을 넓히며 뇌가 늙지 않게 하였다 . 지금까지 모르고 지내던 사람들과 친하게 지내고 대화를 나누다 보면 자신과 다른 관점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을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진다 .
7. 머리를 사용하는 산보
요즘 사람들은 몸보다 뇌가 먼저 늙는다
.
뇌가 먼저 늙는 것이 치매다
.
뇌를 많이 쓸수록 늙지 않고 정신이 총명해진다
.
신문과 잡지
,
책 등을 열심히 읽어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얻고 생각을 깊이 하며 자신의 생각을 글로 써서 표현하여 뇌를 끊임없이 훈련해야 뇌가 늙지 않는다
.
약초꾼 최진규 선생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